※웹개발 관련 기본 용어, 개념, 구조 등을 우선 살펴보고 기본적인 작성방법 등을 차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 

   Visual Studio Code를 활용하고 있으며 'Responsive Web Publishing 반응형 웹 실전프로젝트 가이드'를 참조하여

   공부하고 있습니다.

목차

1. 기본 용어 정리

2. HTML 시작하기

 

1. 웹 개발 시작하기 - 기본 용어 정리

@정적사이트 vs 동적사이트

-정적사이트 : 방문자에게 정보를 보여주기만 하는 웹

-동적사이트 : 웹 브라우저 화면에 보이는 모습+다양한 기능과 서비스 제공

 

@반응형 웹 : 웹 브라우저 화면 크기에 반응해서 웹 사이트의 레이아웃을 달라지게 하는 웹

 

@프런트엔드 vs 백엔드

-프런트엔드 개발 : 웹 브라우저 화면에 보이는 부분을 다루며 HTML, CSS, 자바스크립트를 사용

-백엔드 개발 : 보이지 않는 영역, 즉 서버를 다루며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한다. 자바, PHP, 파이썬 등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

 

@HTML, CSS, 자바스크립트(JS)

-HTML : 웹 브라우저 창에 웹 문서의 내용을 보여 주는 데 필요한 약속

-CSS : HTML로 만든 내용을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게 꾸미거나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배치할 때 사용

-자바스크립트 :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반응하도록 만들기 위해 사용

 

@웹 브라우저 : 웹 사이트를 방문할 때 사용

@웹 편집기(=코드 편집기) : 웹 문서를 만들 HTML태그를 비롯해 CSS나 자바스크립트 소스를 입력하는 프로그램

 

 

2. HTML 시작하기

@HTML이란?

-Hyper Text Mark up Languge

-웹 문서를 만드는 언어

-웹 브라우저에 내용을 보여 주는 텍스트, 이미지, 영상 등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

 

@HTML의 기본구조

<html>~</html> : HTML 파일의 시작과 끝을 표시

<head>~</head> : 웹 브라우저가 알아야 할 정보를 입력(대부분은 화면에 보이지 않음)

<body>~</body> : 실제 웹 브라우저에 표시할 내용을 입력

 

@코드로 확인
<!DOCTYPE html> <!--웹 문서의 첫부분-->
<html lang="ko"> <!--언어 설정-->
<head>
    <meta charset="UTF-8"> <!--<meta> 웹 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지정(문자세트,글자를 표시, 어떤 인코딩 사용)-->
   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   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    <title>Document</title> <!--문서 제목, 웹 브라우저의 제목표시줄에 표시-->
</head>
<body>
   
</body>
</html>
 
 

@시맨틱 태그

-웹 문서 구조를 나타내는 태그

-화면 낭독기 같은 보조 기기에서 사이트의 구조를 이해가능

-문서 구조가 정확히 나눠지므로 PC나 모바일 등 다양한 화면에서 웹 문서를 표현하기 쉬움

-웹 사이트를 검색할 때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찾을 수 있음(원하는 영역에서만 찾을 수 있으므로)

-크게 헤더 영역, 섹션 영역, 푸터 영역으로 나눈다. 

 

@시맨틱 태그 구조

<header>

-사이트 영역의 헤더, 특정 영역의 헤더도 있음

-주로 맨 위쪽이나 왼쪽

-검색 창이나 사이트 메뉴를 삽입

 

<nav>

-내비게이션 영역

-문서 안에서 다른 위치로 연결하거나 다른 웹 문서로 연결하는 링크를 만듦

 

<article>

-문서 안에서 여러 개 사용 가능

-독립적인 콘텐츠를  담음

 

<section>

-의미적으로 묶기 위해 사용

 

<div>

-CSS스타일링, 스크립트 등의 제어를 위한 목적으로 영역 구분이 필요할 때 section 요소 대신 div 요소를 사용

 

+ Recent posts